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취약성 Vulnerability - by David Whyte

by BLUESSY 2023. 10. 9.

2023년 10월 8일 아침으로부터.

Pier 56, Photo by KH Kim, IPhone 11 Pro Max

Vulnerability is not a weakness, a passing indisposition, or something we can arrange to do without, vulnerability is not a choice, vulnerability is the underlying, ever present and abiding undercurrent of our natural state. To run from vulnerability is to run from the essence of our nature, the attempt to be invulnerable is the vain attempt to become something we are not and most especially, to close off our understanding of the grief of others. More seriously, in refusing our vulnerability we refuse the help needed at every turn of our existence and immobilize the essential, tidal and conversational foundations of our identity.

 

To have a temporary, isolated sense of power over all events and circumstances, is a lovely illusionary privilege and perhaps the prime and most beautifully constructed conceit of being human and especially of being youthfully human, but it is a privilege that must be surrendered with that same youth, with ill health, with accident, with the loss of loved ones who do not share our untouchable powers; powers eventually and most emphatically given up, as we approach our last breath.

 

The only choice we have as we mature is how we inhabit our vulnerability, how we become larger and more courageous and more compassionate through our intimacy with disappearance, our choice is to inhabit vulnerability as generous citizens of loss, robustly and fully, or conversely, as misers and complainers, reluctant and fearful, always at the gates of existence, but never bravely and completely attempting to enter, never wanting to risk ourselves, never walking fully through the door.

 

"Vulnerability" by David Whyte

 

 

(역)

 

취약성은 약점이 아니며, 지나가는 불쾌함도 아니며, 우리가 '없기' 로 정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취약성은 선택이 아니며, 우리의 자연적인 상태의 근원적이고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흐름이다.

취약성으로부터 도망치려는 것은 인간 본성의 본능으로부터의 도피와 같다. 무결함에 대한 시도는 우리 자신이 아닌 다른 그 무언가가 되려는 시도이며, 특히 다른 사람들의 슬픔을 이해하려는 마음을 닫는 것이다.

더 나아가, 취약성을 거부함으로써, 우리는 스스로의 존재와 근원에 필요한 도움을 거부하는 것이며, 우리 정체성에 필수적인, 대화의 기초의 생동성을 마비시킨다.

 

일시적이고 고립된 힘을 모든 사건과 상황에 대해 느끼는 것은 사랑스럽고 환상적인 특권이다. 그리고 아마도 인간으로서, 특히 젊은 인간으로서 가장 아름답게 만들어진 오만함일 것이다. 이 특권은 같은 젊음, 건강을 잃을 때, 사고를 당할 때, 그리고 생명의 유한성이 사랑하는 이들을 떠나보내게 할 때, 결국 포기해야 할 특권이다. 마지막 숨을 내뱉는 순간에 가까워지면서, 그 순간에 결국 단호히 포기해야 하는 특권들.

 

우리가 성숙해가며 가질 수 있는 유일한 선택지는 사라짐이라는 개념과 좀 더 가까워짐을 통해 어떻게 취약성을 수용하고, 어떻게 더 큰 사람이 되고 용감해지고 자비로워지는가 이다. 우리의 선택은 무언가를 잃는 인간의 관대함으로서 성장하거나, 취약성을 넉넉하게 그리고 완전하게 간직하거나, 혹은 반대로 불평하며 인색해지고, 무기력하고 두려워하는 인간들, 존재의 문 앞에 서 있지만, 그럼에도 결코 용기를 내어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려는 것, 그리고 온전히 그 문을 지나가지 않으려는 것들. 이들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

 

시를 번역해보는건 아예 처음인 것 같은데, 확실히 일반적인 글보단 엄청나게 힘들다. 영어권에 산 지가 제법 되었으니 그냥 읽어서 얼핏 이해는 되는데 이걸 다시 풀어 쓰려니 영....

 

약점을 수용하고 인정할 때 성장할 수 있다는 건 다소 뻔하고 자칫 지루한 이야기가 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여러 번 되새겨야 하는 말이다. 취약성은 약점과는 살짝 다른 개념인데, 약점이 실존적 (외모, 조건, 집안 등) 이라면 취약성은 보다 더 본질적인 문제- 정서적인 문제들, 이를테면 외로움 등- 이다. 근래 들어 이 약점과 취약성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게 하는 사건이 있었는데, 약점과 취약성이 연결되어 있는 선이 가장 불안정한 선이라고 생각한다.

 

취약성을 정면으로 마주하는 것이 이 극복의 열쇠인데, 그러기 위해선 시행착오를 많이 거쳐야 한다. 내 취약성을 숨기느라고 덮어둔 수 많은 이불을 이 실패와 실수를 통해 한 장, 혹은 두세장씩 걷어내어, 마침내 그 취약성의 본체에 도달하면 그 때에서야 비로소 우리는 나의 공포의 정체가 무엇인지 깨닫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