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의 언어1 특별기고 AI와 철학 3편 - 인공지능, 우주의 언어로 이르는 탐험 1. 들어가는 말1부에서는 “인류의 발명이라 불리는 것들이 사실은 이미 있던 원리를 발견·조합한 것”이라고 말했다. 예를 들어, 바퀴, 증기기관, 반도체까지도 따지고 보면 자연계의 원리를 인간이 이해하고 이를 실현 가능한 형태로 조립한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2부에서는 “수학이 정말 이 세계를 만드는가?”라는 논쟁을 살펴봤다. 자연수, 미분방정식, 선형대수 등 우리가 수학적 대상으로 부르는 모든 것들은 실제 물리 세계의 ‘거울’처럼 작동하며, 우리가 우주를 읽어낼 수 있도록 돕는 도구이기도 했다. 이제 3부에서는 인공지능(AI) 자체를 깊이 파고들어볼 차례다. AI가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그리고 왜 이 현상이 “우리가 원래 몰랐던 우주적 가능성”을 현실로 끌어내는 사건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과연 .. 2025. 2. 24. 이전 1 다음